반응형 1995)1 Safety Maturity level 안전문화 성숙수준에 대해서 안전문화도 안전 특성에 따른 성숙도에 따라서 안전문화 유형을 구분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일명 '안전문화 성숙수준(Safety maturity level)'이라 말하는데요. 이에 따른 여러가지 안전문화 성숙수준 모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3단계 성숙수준 모형(Westrum, 1993)안전문화 발전을 3단계로 소개한 Westrum은 조직이 안전관련 정보흐름을 처리하는 수준과 신뢰의 발전 정도에 따라 안전문화는 '병리적→관료적→생성적' 3단계로 발전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1단계 : 병리적(Pathological)정보는 숨겨진다.정보전달자는 처벌된다.책임은 회피된다.연계(Bridging)는 무조건 비난된다.실패는 숨겨진다.새로운 아이디어는 일방적으로 무시된다.2단계 : 관료적(Bureaucr.. 2025. 4.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