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Safety Maturity level 안전문화 성숙수준에 대해서

by 생활설명서 2025. 4. 16.
반응형

Safety Maturity level 안전문화 성숙수준에 대해서
Safety Maturity level 안전문화 성숙수준에 대해서

 

안전문화도 안전 특성에 따른 성숙도에 따라서 안전문화 유형을 구분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일명 '안전문화 성숙수준(Safety maturity level)'이라 말하는데요. 이에 따른 여러가지 안전문화 성숙수준 모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단계 성숙수준 모형(Westrum, 1993)

안전문화 발전을 3단계로 소개한 Westrum은 조직이 안전관련 정보흐름을 처리하는 수준과 신뢰의 발전 정도에 따라 안전문화는 '병리적→관료적생성적' 3단계로 발전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1단계 : 병리적(Pathological)

  • 정보는 숨겨진다.
  • 정보전달자는 처벌된다.
  • 책임은 회피된다.
  • 연계(Bridging)는 무조건 비난된다.
  • 실패는 숨겨진다.
  • 새로운 아이디어는 일방적으로 무시된다.

2단계 : 관료적(Bureaucratic)

  • 정보가 인정되나 무시되기도 한다
  • 정보전달자를 용인한다.
  • 책임이 구분된다.
  • 연계는 인정하나 무시된다
  • 조직이 공정하고 자비롭다
  • 새로운 아이디어는 인정되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3단계 : 생성적(Generative)

  • 적극적으로 관련 정보가 생성된다.
  • 정보전달자를 훈련한다.
  • 책임이 공유된다.
  • 연계는 적절한 경우 보상된다.
  • 실패는 사건을 만든다.
  • 새로운 아이디어는 환영 받는다.

Westrum은 마지막 단계에 있는 조직이 진정한 안전문화를 달성하는 것으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리고 Westrum의 3단계 성숙수준 모형은 안전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축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3단계 성숙수준 모형(Fleming & Lardner, 1999)

Fleming & Lardner도 3단계 성숙수준 모델을 소개하였는데 그는 항공안전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직무자별 안전에 대한 책임이 어느 정도 명확히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각 직무자가 어떻게 안전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3단계 성숙수준을 제안하였습니다.

1단계 : 의존적 안전문화

조직이 안전문제에 관해 관리, 감독, 통제라는 수단을 사용하며, 안전 대책을 집행하기 위해 과도한 규정과 원칙을 적용하는 수준.

2단계 : 독립적 안전문화

안전이슈에 관해 근로자 개인들에게 권한 위임과 책임을 부여하며, 근로자들은 규정과 절차에 따라서 행동하지만, 근로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안전을 돌보고 지키기 위해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수준

3단계 : 상호 의존적 안전문화

안전이슈에 관해 팀 중심으로 권한 위임이 부여되고, 창조적 안전관리 원칙 아래, 조직의 가치도 생각하면서, 조직 이해자 집단의 안전도 염려하는 사회적 책임감(CSR)을 가지는 수준

4단계 성숙수준 모형(Dupont, 1995)

가장 널리 알려진 4단계 안전문화 성숙수준 모형은 1995년 듀폰(Dupont)이 안전을 포함한 리스크 관리 발전을 4단계로 구분한 일명 'Bradley Curve' 모형입니다. 

1단계 : 반응적(Reactive)

조직 구성원의 본능에 의해 안전 리스크가 관리되는 수준

2단계 : 의존적(Dependent)

안전법규나 안전관련 규정 등 전반적인 안전관리가 관리감독자(Supervisor)에 의존하는 수준

3단계 : 독립적(Self)

Dupont(1995)의 4단계 성숙수준 모형에 있어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본인의 안전을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으로 책임지는 수준'에 해당하는 단계는 3단계 독립적 단계입니다.

4단계 : 상호의존적(Interdependent)

팀(Team)이 중심이 되어 팀원이 팀 구성원 서로의 안전을 챙겨주는 수준으로 안전 리스크 문화의 완성단계입니다.

 

이상으로 Safety Maturity level 안전문화 성숙수준, 안전문화 성숙수준 모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안전보건교육 상반기 시험 문제와 답은?!

2025년 상반기 안전보건교육 듣고 계신가요? 근로자들이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유해 요소를 인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교육하는 과정인 안전보건교육

minoc0806.tistory.com

 

 

 

관리감독자의 중요성 :하인리히 도미노 이론이란?!

관리감독자의 중요성보여주는 것으로 하인리히 도미노 이론을 들 수 있는데요. 도미노를 일렬로 세워서 한쪽 끝을 넘어트리면 연속적으로 넘어지면서 결국 모든 도미노가 넘어지게 되는데 이

minoc0806.tistory.com

 

 

 

 

 

 

 

 

 

반응형

댓글